성경고고학 50

성경이 사실이라는 것을 어떻게 알 수 있을까?

https://creation.kr/BiblenHistory/?idx=164088535&bmode=view 성경이 사실이라는 것을 어떻게 알 수 있을까? : 성경-역사 [한국창조과학회 자료실]성경이 사실이라는 것을 어떻게 알 수 있을까?(Can We Trust the Bible Is True?)by Dr. Tim Chaffey 고고학에서 천문학에 이르기까지, 많은 분야의 증거들은 하나님의 말씀이 진실임을 가리키고 있다. creation.kr

성경고고학 2025.06.28

그랜드캐니언 형성기원에 대한 ..

https://creation.kr/Sediments/?idx=1288680&bmode=view 그랜드 캐니언의 형성 기원에 대한 “물러가는 홍수 시나리오” 1 (A receding Flood scenario for the origin of the Grand Canyon)by Peter Scheele 많은 창조 지질학자들은 그랜드 캐니언이 자연적 댐의 " data-og-host="creation.kr" data-og-source-url="https://creation.kr/Sediments/?idx=1288680&bmode=view" data-og-url="https://creation.kr/Sediments/?bmode=view&idx=1288680" data-og-image="https://scr..

성경고고학 2025.06.21

갈보리

갈보리:Calvary(지명) [그리스] Golgoqav(Golgotha)[라틴] Calvaria [영어] Calvary(KJV)그리스도께서 십자가에 못박히신 장소의 라틴명 칼바리아(Calvaria)의 영역명에 따른 것. 개역성경에는 보이지 않고, KJV에 한 곳(눅 23:33), 이 말을 쓰고 있다.이것은 라틴역(Vulgata)의 Calvaria에서 온 것으로 [두개골]을 의미한다.→골고다 갈보리(Calvary) 예수님이 십자가에 못박히셨던 예루살렘 성 밖의 언덕이다(마 27:33; 막 15:22; 요 19:17). 예수님과 두 강도의 처형이 이곳에서 이루어진 것은 유대인의 법에 따라 공개적인 처형은 성 밖에서 해야 했기 때문이었다. 갈보리라는 말은 해골이라는 뜻의 라틴어 ‘칼바’의 파생어인 ‘..

성경고고학 2025.06.05

골고다 (갈보리)

출처: ISBE 골고타(골고다, "해골"에서 유래): 세 곳에서(마 27:33; 막 15:22; 요 19:17) 이 단어는 kraniou topos, 즉 "해골의 장소"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됩니다. 누가복음 23:33에서는 킹 제임스 성경(KJV)에서 "갈보리"라고 불리지만, 개정판(영국 및 미국)에서는 단순히 "해골"이라고 불립니다. 신약성경에서 우리는 이 단어가 도시 밖(히 13:12)에 있었지만, 도시 가까이에 있었고(요 19:20), 아마도 공공 도로 근처에 있었으며(마 27:39), 시골에서 오는 곳(막 15:21)이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어떤 지점에서는 멀리서도 볼 수 있는 지점이었습니다(막 15:40; 눅 23:49). 1. 이름: 골고다 또는 "해골"이라는 이름에 대해서는 네 가지 이..

성경고고학 2025.06.05

갈릴리바다

인용시작 출처:https://news.yonsei.or.kr/pc/page/subp.html?mo=_view&seq=37055 [토막상식] 갈릴리 바다, 게네사렛 호수, 디베랴 바다[토막상식] 갈릴리 바다, 게네사렛 호수, 디베랴 바다news.yonsei.or.kr “이 일들 후에 예수님께서 갈릴리 바다 곧 디베랴 바다 건너편으로 가시매”(요6:1). “사람들이 그분께 몰려와 [하나님]의 말씀을 들으려 할 때에 그분께서는 게네사렛 호숫가에 서서”(눅5:1). 성지순례 중 순례객들이 가장 감격하면서 맞이하는 곳이 바로 갈릴리 바다다. 처음 보는 순간 그 넓이와 길이에 감탄하고 또 주변환경의 아름다움에 감탄하게 된다. 갈릴리가 예수님의 고향이고 3년간 공생애의 주 무대였기 때문에 더욱 감동을 받는지도 모..

성경고고학 2025.04.21

가이사 :카이사르 아우구스투스

가이사:Caesar(인명) Caesar Augustus `율리오 케사르'(Julius Caesar)의 속명이었는데, 그의조카 아우구스투스가 제국(帝國)을 조직한 후부터 황제의 칭호로 되어, 실제로는 `황제'의 동의어로 쓰였다. 통치권을 손에 넣고, 그는 겸손을 가장하여 황제의 위를 사양했다. 그러나 대장군, 즉 군 통수자의 지위를 누렸다. 그의 이름 `케사르'는 그의 상속자들이 준 것인데, 점차 왕위보다 더 큰 의의를 가진 제위로 되었다. 라틴어에서 `임페레이터'라는 칭호를 채택하고 있는 나라들에서, 그는 황제와 꼭같은 권세를 얻었다. 신약 시대의 팔레스틴과 유대인들은 로마 가이사의 권세 하에 있었다.  신약의 역사는 아구스도(재위 BC 31- AD 14, 눅 2:1), 디베료(재위 AD 14-37, 눅..

성경고고학 2025.04.14

나이에 관한 연구

https://creation.kr/Genesis/?idx=1289074&bmode=view 창세기 사건들과 관련된 족장들의 연대와 나이에 관한 연구 : 성경-창세기 [한국창조과학회 자료창세기 사건들과 관련된 족장들의 연대와 나이에 관한 연구이강래      주 예수를 자신의 구주로 고백한 기독교인들에게 성경 기록의 진실성과 역사성에 대한 신뢰는 한 번의 믿음(요20:29)으로creation.kr

성경고고학 2025.04.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