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양계의 행성의 이름
===============
영어로 표현된 이름으로 모두가 그리스-로마 신화에서 나오는 신들의 이름을 인용을 했다.
나중에 유대식의 행성이름이 뭔지 아는 분은 댓글로 올리셨으면 합니다.
-------------------------------------
한국어에서 모든 태양계 행성의 이름은 별을 뜻하는 한자 별 성(星) 앞에, 고대 사람들이 그 행성의 속성이라고 믿었던 말이나 서양의 행성 이름을 번역한 말을 덧붙여서 되어 있다(중국어와 일본어도 그렇다). 지구는 그렇지 않은데, 그 이유는 고대 사람들은 지구도 행성이라는 것을 몰랐기 때문이다. 거의 모든 서양 언어에서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신의 이름을 따서 행성을 명명했다. 예를 들어, 토성을 뜻하는 단어 'Saturn'은 농업의 신 사투르누스(Saturnus)의 이름에서 따 왔다. 옛날에는 천동설을 믿었고, 태양과 달도 행성으로 믿었기 때문에 태양, 달, 화성, 수성, 목성, 금성, 토성의 이름을 빌려 일요일, 월요일, 화요일, 수요일, 목요일, 금요일, 토요일이 만들어졌다.
http://blog.daum.net/jktour/17193221
태양계 안의 행성은 물리적 특성에 따라 지구형 행성과 목성형 행성으로 분류된다. 이 기준을 적용하면 지구형 행성은 수성, 금성, 지구, 화성이고, 목성형 행성은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이다.
태양계 첫번째 행성인 수성(水星·Mercury)
전령의 신 헤르메스(로마식 이름 머큐리)에서 따왔다. 수성을 심부름꾼에 비유한 것은 태양에서 멀리 떨어지는 일이 없고 움직임이 빠르기 때문이라는 해석이 있다.
금성(金星·Venus)
미와 풍요의 여신인 아프로디테(로마식 비너 스)에서 온 말. 옛날 그리스인들은 금성이 천체중에서 가장 아름답다고 생각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화성(火星·Mars)
전쟁의 신인 아레스(로마식 마르스)에서 비롯됐다. 화성이 붉게 보이기 때문에 전쟁을 연상한 것으로 풀이되고 있다.
목성(木星·Jupiter)
제우스(로마식 쥬피터)에서 따왔다. 제우스는 아버지 크로노스를 물리치고 최고의 신이 됐다. 그리스인들이 가장 큰 행성인 목성에 제우스란 이름을 붙인 것은 수수께끼다. 이는 목성이 다른 행성에 비해 특별히 밝은 것도 아니고 당시 가장 큰 행성이라는 사실이 알려지지도 않았기 때문이다.
토성(土星·Saturn)
이름은 시간의 신인 크로노스(로마식 새턴)를 인용했다. 크로노스는 아버지 우라노스를 몰아내고 결국 자신도 아들인 제우스에게 밀려났다. 그리스인들이 토성에 크로노스라는 이름을 붙인 것은 행성중에서 가장 느리다고 여겼기 때문이라는 해석이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지구에서 볼때 목성 다음에 토성이 있다는 사실과 크로노스가 제우스에게 쫓겨났다는 점은 흥미롭다. 천왕성과 해왕성,명왕성은 망원경이 발명된 뒤인 18세기 이후에 발견됐다. 그런데 어떻게 그리스·로마신화에 등장하는 신 이름이 붙여졌을까. 결론적으로 이들 행성을 발견한 천문학자들은 기존에 알려진 행성들의 이름이 그리스·로마신화에서 비롯됐다는 점에서 새로 발견한 행성에도 신의 이름을 사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1781년 발견된 천왕성(天王星·Uranus)
하늘의 신인 우라노스를 뜻한다. 우라노스는 최초로 세계를 지배한 신이었지만 아들인 크로노스에게 쫓겨났다. 천왕성을 발견한 천문학자 보데는 토성보다 멀리 있다는 점에서 이름을 우라노스로 정한 것으로 추정된다.
해왕성(海王星·Neptune)
바다의 신 포세이돈(로마식 넵투누스)에서 따온 이름이다. 해왕성에서 청록색 빛이 났기 때문에 이같은 이름이 지어진 것으로 분석된다.
태양계 마지막 행성 명왕성(冥王星·Pluto)
지하세계의 신인 하데스(로마식 플루토)를 본딴 것. 하데스는 눈에 보이지 않는다는 뜻을 지니고 있고 명왕성이 너무 작고 보이지 않아 발견에 어려움 많았다는 점에서 이같은 이름이 지어진 것으로 알려진다.
출처: http://tip.daum.net/question/38928400
https://ko.wikipedia.org/wiki/%ED%96%89%EC%84%B1
==================================
그리스로마신들의 가계도
http://cau09myth.tistory.com/entry/%EC%98%81%EB%AC%B8%ED%8C%90-%EA%B0%80%EA%B3%84%EB%8F%84
http://moonlgt2.tistory.com/403
'창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동설 vs 지동설 -2 (0) | 2016.01.21 |
---|---|
공룡의 뼈에서 발견된 연부 조직과 혈관 (0) | 2015.12.07 |
[토론] 진화론 vs 창조론 - 3명의 진화론 교수 vs 켄트 호빈드 (0) | 2015.09.16 |
살아있는 화석 - 진화론자드의 장난질 (0) | 2015.09.12 |
인디언과 노아 홍수 이야기 (0) | 2015.08.21 |